김동연 지사 “산업안전과 이주노동자 대책 세우겠다”

기사승인 2024. 06. 26. 15:00
26일 도청사 합동분향소 조문 후 사고 수습과 추가 대책 설명
시신 수습과 신원 확인, 유가족 뜻에 따른 장례가 신속하게 이뤄져야
합동분향소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26일 도청 1층 로비에 설치된 화성 공장 화재 희생자 합동분향소에서 헌화를 하고 있다./경기도
김동연 경기지사가 26일 도청사 1층 로비에 마련된 '화성 공장 화재 희생자 합동분향소'에서 조문을 마친 후 "산업안전과 이주노동자 대책 추진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또 김 지사는 "시신 수습과 신원 확인, 유가족 뜻에 따른 장례가 신속하게 이뤄져야 한다"고도 했다.

이날 김 지사는 "유해물질 또는 안전에 취약한 산업현장이나 공장에 대해 실질적인 산업안전대책을 만들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면서 "파견 근로자 형식으로 와서 일했던 분들이기 때문에 위험한 상황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와 교육을 받지 못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앞으로 산업현장에서 일하는 직원들을 위한 안전 교육에 대해 면밀히 짚어보겠다"고 했다.

이주노동자 대책에 대해서는 안전과 의료, 주거, 교육 문제에 대한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지사는 "우리 기업에 와서 일 하시는 분들이다. 차별 없이 안전문제부터 챙겨야 한다"면서 "안전문제와 의료문제부터 시작해서 실효적인 대책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의료문제에 대해선 "이주노동자들이 아파도 병원에 갈 수 없다면 커다란 인권의 사각지대다. 도공공의료원이나 민간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이주노동자들의 의료와 건강문제에 대해서 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겠다"고 덧붙였다.

산업안전이나 이주노동자 대책에 대해 경기도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보통 이런 참사가 있으면 말로만 성찬을 벌이고는 실천이 따르지 않는다. 경기도는 이번에 확실히 다르게 해 보겠다"며 이태원 참사를 반면교사 또는 타산지석으로 삼겠다고 했다.

김 지사는 "사고 나자마자 바로 현장에 달려간 것이나 세 차례에 걸쳐 현장 브리핑을 한 것은 정부가 잘못 대응했던 것에 대한 경기도 나름의 타산지석이다"라며 "사고 재발을 방지하는 첫걸음이 원인과 책임 소재 규명 그리고 제대로 된 대책을 만드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다시는 이런 일 없도록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경기도는 수원시 광교에 위치한 남부청사와 의정부시에 위치한 북부청사에 이번 화재사고 희생자들을 추모하기 위한 합동분향소를 설치하고 조기를 게양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