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금투협, 채권포럼 개최…‘올 하반기 채권 및 크레딧시장 전망과 투자전략 모색’

금투협, 채권포럼 개최…‘올 하반기 채권 및 크레딧시장 전망과 투자전략 모색’

기사승인 2024. 06. 25. 18:53
하반기 두 차례 금리 인하 전망
하이일드펀드 분리과세 혜택 연장 필요
금융투자협회 여의도 본사 전경
금융투자협회는 올해 하반기 채권 및 크레딧시장 전망과 투자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채권포럼을 25일 개최했다.

이날 포럼에서 '2024년 하반기 채권시장 전망과 투자전략'을 발표한 강승원 애널리스트(NH투자증권)는 "연초 이후 미국 물가 상승을 주도한 소수 품목의 가격 인상 효과의 마무리로, 디스인플레이션이 자리를 잡을 것"이라며, "이에 미 연준(Fed)은 점차 고용 둔화에 방점을 두며 9월을 시작으로 하반기 두 차례(9월, 12월) 금리인하에 나설 것"이라고 전망했다.

더불어 "연준의 금리인하는 채권시장의 테마가 물가에서 경기로 이동하는 이정표가 될 것이다"고 말했다.

강 연구원은 "우리나라의 경우 2분기 GDP에서 1분기의 내수 반등이 일시적이라는 것이 확인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7∼8월 중 근원물가 상승률이 2%에 도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한국은행도 점차 경기 둔화에 방점을 두고 8월을 시작으로 하반기 두 차례(8월, 11월) 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며 "국채 금리는 점차 하향 안정화될 가능성이 크다"고 덧붙였다.

'2024년 하반기 크레딧시장 전망과 투자전략'을 발표한 김은기 애널리스트(삼성증권)는 "올해 부동산 PF, 저신용 회사채의 신용등급 하락 및 우량·비우량 회사채 양극화 이슈 등 다양한 크레딧 리스크 요인으로 크레딧 스프레드 확대를 전망했다"면서도 "상반기 크레딧 시장은 4분기 금리 인하까지 오랜 시간이 남아 있어 그 기간 상대적으로 금리가 높은 크레딧 채권에 대한 캐리수요 확대로 크레딧 스프레드가 지속적으로 축소됐다"고 언급했다.

아울러 "하반기에도 크레딧 채권에 대한 캐리 수요로 인해 크레딧 스프레드 확대가 제한될 것으로 하반기 동안 부동산 PF 우려가 지속적으로 제기될 전망이나, 충분히 시장에서 예상된 리스크인 만큼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정책으로 인해 투자 심리를 크게 위축시키지는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김 연구원은 "올해 회사채 시장의 가장 큰 특징은 우량·비우량 등급간 양극화 완화이다"며 "올해 회사채 수요예측에서 BBB등급이 높은 경쟁률을 보인 주요한 요인은 하이일드 펀드의 수탁고 증가였다"고 설명했다.

그는 "BBB등급 회사채 시장 활성화를 위해 올 해말 일몰예정인 하이일드 펀드에 대한 분리과세 세제혜택이 연장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