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폐지 줍지 마세요”…서울시, 폐지수집 어르신에 일자리 지원

기사승인 2024. 06. 25. 14:06
전 자치구에 '폐지수집 어르신 일자리 전환 전담기관' 지정
폐지 수집 원할 땐 사업단 운영해 평균수입 2배 지급
dlfwk
노인일자리 폐지수집 사업단 활동 모습. /서울시
서울시가 폐지 수집 어르신이 더 이상 폐지를 줍지 않아도 생계를 이어갈 수 있도록 일자리 제공에 나선다.

시는 이런 내용이 담긴 '폐지수집 어르신에 대한 지원방안'을 25일 발표했다. 어르신들이 마땅한 일자리를 찾지 못해 무작정 폐지수집에 뛰어들어 빈곤이 가속화·장기화하는 것을 막자는 취지다.

이를 위해 모든 자치구에 폐지수집 어르신 일자리 전환 전담기관을 지정한다. 일자리 발굴부터 건강과 성향 등을 고려한 저강도 일자리 연계, 후속 조치까지 체계적으로 지원한다.

익숙한 일을 이어가려는 어르신들의 성향을 반영해 공공장소 플라스틱 및 담배꽁초 수거, 수변공원 환경미화원 등 형태는 유사하나 노동강도가 약한 월 30시간 내외 일자리를 개발해 연계한다는 계획이다.

일자리 연계·지원에도 폐지수집 활동을 지속하고자 하는 어르신들에겐 공공일자리 사업 중 하나인 '폐지수집 일자리사업단'을 연계해 수입을 늘려준다.

폐지수집 일자리사업단은 수집한 폐지를 자치구가 지정한 공동판매처에 갖다주면 판매금액에 보조금을 더해 2배 수준(평균 30만원) 가량의 금액을 급여로 지급하는 방식이다. 현재 13개구 1253명이 일하는 중인데, 전 자치구 1800명으로 단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폐지수집 어르신 관리시스템'도 새롭게 구축한다. 관리시스템에 등록된 어르신에 대해선 동주민센터 복지플래너가 초기상담을 실시해 일자리 전환 전담기관으로 1차 연계해 적합한 일자리를 알선한다. 이 밖에도 월 1회 이상 주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건강상태 등을 확인한다.

또 교통사고 등 각종 안전사고에 대비해 어르신 안전보험 가입을 지원하고, 자치구와 협의해 고물상 주변 무단횡단이 잦은 지역에 안전시설물을 설치한다. 관내 고물상과 협의해 의자, 음수대 등을 갖춘 휴식공간도 조성한다.

정상훈 복지정책실장은 "최근 경기 불황으로 폐지 배출량이 줄어들고 단가도 떨어져 어르신들이 이중고를 겪고 있다"며 "고령화시대 어르신들이 폐지수집 대신 더 안전하고 안정적인 일을 통해 생활을 유지하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