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종순 본지 회장,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 참석
우종순 아시아투데이 대표이사·회장은 20일(현지시간) 예정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식에 참석하기 위해 워싱턴 D.C.를 방문해 미국 조야 인사들의 의견을 청취했다.우 회장은 18일 오후 워싱턴 D.C. 국립미술관에서 진행된 트럼프 2기 행정부 장관 후보자 주최 '내각 리셥션', 19일 캐피털원아레나에서 열린 '마가(MAGA·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승리 집회'에 참석해 트럼프 2기 행정부 주요 인사 및 지지자들과 교류를 강화했다.우 회장은 20일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 및 퍼레이드, 그리고 공식 취임 축하 행사 중 하이라이트로..
-
尹대통령, 21일 탄핵심판 출석…공수처 수사는 거부
윤석열 대통령이 오는 21일 열리는 헌법재판소(헌재) 탄핵심판 3차 변론기일에 직접 출석한다. 윤 대통령은 헌재 변론기일에 빠짐없이 출석해 12·3 비상계엄 선포 배경 등을 직접 설명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의 내란죄 수사는 불법이자 도를 넘은 망신주기 수사로 보고 법치주의를 바로세우는 관점에서 응하지 않는다는 계획이다. 윤 대통령 측 변호인단은 20일 밤 입장문을 내고 "21일 오후 2시 헌재의 탄핵 변론 기일에 대통령이 출석할 예정"이라며 "앞으로 가능하면 헌재는 다 출석할 것"이라고 밝혔다. 헌재..
-
공수처, 尹 강제인치 시도 불발…인권침해 수사 논란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는 20일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강제 인치(구인)를 시도했으나 불발됐다. 공수처 관계자는 "금일 오후 피의자(윤 대통령)를 구인해 조사하기 위해 검사 및 수사관이 서울구치소를 방문했으나 윤 대통령의 지속적인 조사 거부로 이뤄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앞서 공수처는 이날 오후 3시쯤 검사와 수사관 6명을 서울구치소로 보내 윤 대통령에 대한 강제 구인을 시도했다. 하지만 윤 대통령에 거부하자 6시간 만인 오후 9시쯤 시도를 중지했다. 공수처는 조만간 윤 대통령에 대한 강제 구인 재시도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다만 공수처가 윤 대통령을 공수처가 있는 과천종합청사로 데려가더라도 실효적인 조사가 이뤄질 가능성은 극히 낮다. 강제 구인 시에도 피의자 방어권 보장 차원에서 진술거부권 행사가 가능한 까닭에서다. 이에 공수처의 윤 대통령 강제 구인은 보여주기식 수사쇼에 불가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관할권 논란을 부른 체포영장 집행에도 윤 대통령을 상대로 별다른 수사 성과를..
-
비서가 따로없네…AI기술 집약판 '갤럭시S25' 베일 벗는다
삼성전자가 오는 23일 공개하는 새 플래그십 스마트폰 '갤럭시 S25'의 AI(인공지능) 기능이 대폭 강화된다. 음성 비서 '빅스비'와 AI를 결합해 초개인화된 사용자 맞춤형 기능을 제공할 전망이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미국 현지시간으로 22일 오전 10시(한국시간 23일 오전 3시) 미국 캘리포니아주 새너제이(산호세)에서 '삼성 갤럭시 언팩 2025'를 열고 신제품을 선보인다. 삼성전자는 이번 행사에서 갤럭시 S25 기본형, 플러스, 울트라를 포함해 갤럭시 S25 슬림까지 총 4종을 공개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갤..
-
尹 탄핵심판 강행, 이재명은 지연…사법 형평성 논란 점화
헌정 사상 초유의 현직 대통령 구속 앞에서 법조계에도 후폭풍이 거세다.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의 강공이 지속되고 헌법재판소(헌재) 역시 윤 대통령 탄핵심판에 속도를 내고 있지만,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에 대한 재판만큼은 더디게 진행되면서 형평성 논란이 더욱 커지고 있어서다. 이는 사법체계에 대한 국민적 불신을 초래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20일 법조계에 따르면 헌재는 내란 우두머리 혐의를 받고있는 윤 대통령 정식 변론을 주 2회로 잡았다. 다음달 6일과 11일, 13일은 오전 10시부터 종일 변론도 예고..
-
내란특검 '빈손' 뻔한데 혈세 112억…더 커진 특검 무용론
야당이 추진하고 있는 '내란 특별검사' 법안이 별다른 소득 없이 국민 혈세만 낭비할 것이라는 우려가 쏟아지고 있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이 특검법안을 당장 공포한다 해도 검찰의 기소 전 특검 출범은 물리적으로 어렵다. 현행법상 동일사건·인물에 대한 이중기소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내란 특검은 기소 자체를 할 수 없을 것이라는 무용론이 제기된다. 20일 정치권 등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 등 야당은 지난 17일 본회의에서 내란 특검 법안을 일방 처리해 18일 정부로 이송했다. 15일 이내 조치를 해야 하는 정부는 다음 달 2일까지 법안을 공포하거나 국회에 재의를 요구해야 한다. 검찰과 공수처의 구속수사 기한은 최장 20일이다. 이 때문에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이 지체 없이 특검법을 공포하고, 특검임명 절차를 밟고 준비과정을 속행한다 하더라도 검찰 기소 전 특검이 출범하기란 불가능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최 대행 선택의 키워드는 '여야합의 처리' 여부다. 여야가 불협화음을 내고 있는 만큼 재판..
-
"GV80이 거기서 왜 나와?"…트럼프 전용기 앞 '깜짝 등장'
-
軍, '비상계엄 지휘' 방첩·수방·특전·정보사령관 보직해임
-
공수처 인근서 분신 시도한 50대 남성, 닷새 만에 사망
-
美 출장서 SK 미래 본 최태원, 상반기 전용기 더 띄울 듯
-
오세훈 "내란특검은 이재명 대선용…野, 방탄쇼 멈춰야"
오세훈 서울시장이 더불어민주당 등 야당 주도로 처리된 '내란특검법'을 두고 "이재명 대선용 특검은 멈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 시장은 20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글을 통해 "현직 대통령이 이미 구속됐고 주요 관련자들도 대부분 구속 기소된 상황"이라며 "조만간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수사를 마치고 검찰이 기소하면 재판이 진행될 텐데 여기에 또 특검을 꾸린다는 것은 민주당 자신들도 이해 못 할 모순일 것"이라고 밝혔다. 오 시장은 "이유는 분명하다. 여론의 관심이 범죄 피고인인 이재명 대표의 당선무효형 항소심이 아니라 특..
-
정권연장 48.6% 정권교체 46.2%…국힘 46.5% 민주 39%
-
헌재 "尹 탄핵심판 출석 여부 아직 밝힐 단계 아니다"
-
단 이틀만에 880% 폭등…트럼프 이름 딴 '밈코인' 광풍